2020년 3월 11일 내가 좋아하는 EBS radio shows (이지잉글리쉬, 입트영)
본문 바로가기

생활 영어회화

2020년 3월 11일 내가 좋아하는 EBS radio shows (이지잉글리쉬, 입트영)

반응형

[Easy English] 2020.03.11 Let's get to it. (해 보자 / 기운나게 하는 것)


직장동료인 Arman(A)과 Yoon(B)의 대화

A : 나 너무 힘들다. 할 일은 너무 많은데 시간이 거의 없어.
B : 차 좀 마실래?
A : 아, 고마워. 녹차는 항상 날 기운나게 하는 데 아주 좋아.
B : 우리 새로운 프로젝트 작업은 언제부터 할까?
A : 지금하는 거 어때? 해 보자.

A : I'm so tired. There is so much to do but so little time. (= So much to do, so little time.)
B : Would you like some tea?
A : Oh, thanks. This green tea is always a great pick-me-up.
B : When should we start working on a new project?
A : How about now? (= What about now?) Let's get to it. (= Let's get started it. = Let's get going.)


< Key Expression >

- Let's get to it. : (어떤 일이나 활동을) 해 보자. 시작해보자.
- tired : (상황에 따라) 피곤한, 힘든
- pick-me-up : (카페인이 든 음료처럼) 기운나게 하는 것, 정신이 번쩍 들게 하는 것
ex. A pick-me-up is something that gives you energy. 'pick-me-up'은 당신을 기운나게 하는 것이다.
What is a pick-me-up for you? 너한테 기운나게 하는 게 뭐야?
English breakfast tea is a great pick-me-up. 잉글리쉬 브렉퍼스트티는 기운나게 하는 데 아주 좋다.
- work on ~ : ~를 하다(쓰다, 작업하다)
ex. work on a project 프로젝트를 하다
work on the file 파일 작업을 하다
work on the resume 이력서를 쓰다
work on my homework 숙제를 하다


< One-line speaking, Three-line dialogue : 한 줄 말하기, 세 줄 대화>

"This is exactly what I needed."
이거 나한테 꼭 필요했던거야. 이게 딱 필요했었어.
A : I know what will help. 난 뭐가 도움이 될지 알지.
How about this green tea? 이 녹차 어때?
B : You're an angel. (정말 필요한 도움을 받았을 때 하는 말) 넌 천사야.

< Pattern and Speaking grammar >

* When should we start ~ing?
: 우리 언제부터 ~할까?
- When should we start packing?
우리 언제부터 짐을 쌀까?
- When should we start making dinner?
우리 언제부터 저녁준비 할까?
- When should we start cleaning the house?
우리 언제부터 집청소 할까?


< Book in book project : 문장의 핵심 동사 완전 정복 >

이 번 주의 동사 : help, help with 명사
3) 도움이 되다, ~에 도움이 되다
ex. Did it help? 도움이 되었어요?
It helped a lot. 많이 도움이 되었어요.
This tea will help with digestion. 이 차가 소화에 도움이 될 거예요.



입트영(2020.03.11) - Online Grocery Shopping / 인터넷에서 장보기


[Study Group Questions]

1. What are some types of groceries you buy online?
2. Which sites, apps and services do you use for online shopping? Why do you prefer them?
3. Describe cases in which you prefer going to a store, rather than ordering online.


SPEECH PRACTICE

Talk about how online grocery shopping is becoming more widespread.
점점 보편화되어 가고 있는 인터넷 장보기에 대해서 이야기해 주세요.


Korea is a global leader when it comes to shopping for groceries online. Online sales of daily necessities make up 25% of the total trade volume. The figure is much higher than in other first world countries, where the number is in the single digits.
Especially among younger generations, people shop for groceries by placing orders on their smartphones and having things delivered to their home. People can buy almost anything online, including fresh produce and meat. Speedy delivery is one of the reasons online grocery shopping caught on quickly. Getting groceries delivered early in the morning the day after you order has become par for the course.

On meet on this trend, competition is heating up among Internet grocery-shopping companies. Well-known distributors are cutting down on the number of stores, in favor of expanding online shopping services.


한국은 세계적으로 인터넷 장보기가 가장 활발한 국가이다. 생활필수품 시장에서 온라인 판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거래량의 25퍼센트이다. 이는 해당 수치가 한 자릿수에 불과한 다른 선진국들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특히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주문하고 집으로 배송을 받으면서 장을 본다. 인터넷으로 신선한 농산물과 육류를 포함한 거의 모든 품목을 구매할 수 있다. 온라인 장보기가 빠르게 정착한 이유 중 하나가 신속한 배송이다. 주문을 하면 다음 날 새벽에 식료품이 배송되는 서비스가 표준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기업간의 인터넷 장보기 서비스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유명 유통업체들은 매장 점포수를 줄이고, 그 대신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Key Expressions]

when it comes to ~에 있어
daily necessities 생필품
trade volume 거래량
first world country 선진국
in the single digits 한 자릿수의, 10 미만의
place an order 주문을 하다
have something delivered 배달 주문을 하다
fresh produce 신선한 농산물
speedy delivery 신속한 배달
catch on 정착하다
par for the course 표준, 평균적인 수준
competition heats up 경쟁이 치열해지다
cut down on 절감하다, 줄이다
in favor of ~로 대처하기 위해


[Pattern Practice]

1. place an order 주문을 하다
■ People shop for groceries by placing orders on their smartphones.
■ I forgot to include cola when I placed my order.
■ Why is it so difficult to place an order on this app?
2. speedy delivery 신속한 배달
■ Speedy delivery is one of the reasons online grocery shopping is so popular.
■ I don't mind paying extra for speedy delivery.
■ You can get speedy delivery almost anywhere in Korea.
3. catch on 정착하다
■ Online grocery shopping caught on quickly.
■ I thought the song would catch on, but nobody else liked it.
■ That style caught on last year.


[Dialogue Practice]

A: Where do you usually shop for groceries?
B: Me? I usually do my shopping online.
A: Really? For groceries, isn't it better to go and see the products in person?
B: No, it's not a must. I can order online and still get fresh products.
A: I see. It does seem like more people are buying groceries online these days.
B: Yeah. It's because there are more single person households.
A: Do you think I should give it a go?
B: Sure, try it out. I'll send you a link to the app I use.

A: 주로 어디서 장을 보니?
B: 나? 난 보통 인터넷으로 장을 봐.
A: 정말? 식품인데 직접 가서 보고 사는 게 좋지 않아?
B: 아니, 굳이 안 그래도 돼. 인터넷에서 주문해도 신선한 제품이 와.
A: 그렇구나. 요즘 온라인에서 장보는 사람들이 더 많아진 것 같기는 해.
B: 맞아. 혼자 사는 사람들이 더 많아져서 그래.
A: 나도 한번 해 볼까?
B: 응, 해 봐. 내가 이용하는 앱 링크를 보내 줄게.

[Key Expressions]

in person 직접
not a must 필수는 아닌 것
single person household 1인 가구
give it a go 한번 해 보다
try it out 시도해 보다


[Composition Practice]

1. 사람이 워낙 많아서 주문을 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place an order)
2. 신속한 배달 덕분에 그 다음 날 받아 볼 수 있었다. (speedy delivery)
3. 한국에서 그 기술이 빠르게 정착했다. (catch on)
4. 권장 사항이기는 하지만 필수는 아니다. (not a must)
5. 매운 음식을 좋아하지 않지만, 한번 시도해 보기로 했다. (give it a g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