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잉글리쉬.
It wasn't all that. 대단치는 않더라.
<대화>
A: Well, that movie was just okay. What'd you think?
B: Yeah, it wasn't all that. Could've been more exciting, not enough action.
A: Exactly! The trailer hyped it up so much and it had such glowing reviews.
B: I know, right? I guess our expectations were too high.
A: Oh, well, at least we got to spend time together at the film festival.
A: 음, 저 영화는 뭐 좀 그저 그랬어. 넌 어땠어?
B: 응, 대단치는 않더라. 난 그 영화가 좀 더 신났으면 좋았을 것 같아. 액션도 충분하지 않았고.
A: 바로 그거야! 예고편이 실제보다 더 부풀려 보이도록 만들었어. 그리고 평가도 모두 긍정적이었거든.
B: 그러게 말이야. 우리 기대가 너무 컸나 봐.
A: 뭐. 그래도 적어도 우리가 영화제에서 같이 시간을 보낼 수 있었잖아.
<핵심 표현>
just okay 그냥 그저 그런, 대단하지 않은
not all that 알고 보니 대단하게 여겨질 만한 것이 아닌
hype up 들뜨게 만들다.
expectations 기대
@입이 트이는 영어.
School-age population decline. 학령 인구의 감소.
<말하기 연습>
I have worked at a college in Gyeonggi-do Province for 20 years now. Things weren't looking great back when I first took the job, and the conditions that universities face today remain challenging.
저는 경기도에 있는 대학에서 근무한 지 이제 20년이 되었습니다. 제가 처음 입사할 때에도 대학의 환경이 좋지 않았는데, 지금도 여전히 대학이 처한 여건들은 녹록치 않습니다.
The biggest difficulty that I personally feel is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ccording to data from Statistics Korea, the total admissions quota of universities nationwide was 490,000 students as of 2022. Meanwhile, the entire population of high school seniors was 473,000 students. For the first time ever, the number of high school seniors was lower than the admissions quota of universities.
직접적으로 체감하는 가장 큰 어려움은 학령 인구의 감소입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2년도를 기준으로 전국 대학의 입학 정원이 49만 명인데 반해, 고3 학생의 전체 인구가 47만 3천 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역대 처음으로 고3 학생 수가 대학 입학 정원보다 더 적었습니다.
Back when I was in elementary school, there were more than 60 students to a classroom. There were so many classes that we had to split into morning and afternoon shifts for classes. It really makes me feel how things have changed.
제가 초등학교에 다닐 때만 하더라도 한 학급에 60명 이상의 학생들이 있었습니다. 학급 수도 많아 오전반과 오후반으로 나누어야 했던 시절을 생각하면, 정말 격세지감을 느끼게 됩니다.
<핵심 표현>
things aren't looking great 상황이 좋지 않다.
first take a job 처음 입사하다.
remain challenging 여전히 녹록치 않다.
the biggest difficulty 가장 큰 어려움
personally feel 직접 체감하다.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학령 인구의 감소
according to data from ~의 자료에 따르면
total admissions quota 입학 정원
as of 2022 2022년도 기준
high school senior 고3 학생
for the first time ever 역대 처음으로
students to a classroom 학급당 학생 수
feel how things have changed 격세지감을 느끼다.
<대화 연습>
A: I heard that the numbe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s dropped sharply.
B: I've heard that too. The demographic cliff means the number of students taking the college entrance exam has also decreased.
A: Some universities might not be able to fill their admissions quota.
B: Yes, I heard that it's happening for more and more schools.
A: That must really make it hard for universities to keep operating.
B: That's right.
A: 중고생 수가 많이 줄었다고 해요.
B: 저도 들었어요. 인구 절벽이 와서 수능 응시행 수도 많이 줄었다고 해요.
A: 입학 정원을 다 채우지 못하는 대학들도 있겠네요.
B: 네, 그런 학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A: 그로 인해 대학들이 학교를 계속 운영하는 데 정말 어려움이 많겠어요.
B: 맞아요.
<음성 파일>
<영작 연습>
1. 모두들 기다리고 있는데, 상황이 그리 좋지 않다.
Everyone is waiting, but things aren't looking great.
2. 사상 처음으로 한국 영화가 그 상을 수상했다.
For the first time ever, a Korean film won the award.
3. 고향을 방문하면 나는 정말 격세지감이 느껴진다.
I really feel how things have changed when I visit my hometown.
4. 지난 주말에 기온이 급격히 떨어졌다.
The temperature dropped sharply last weekend.
5. 비 때문에 나는 길이 잘 보이지 않았다.
The rain made it hard for me to see the road.
@교재구매.
https://link.coupang.com/a/bbgGCj
https://link.coupang.com/a/bbgHoL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생활 영어회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 열공하는 EBS radio shows(23. 10. 17. 화) 이지잉글리쉬, 입이 트이는 영어. (0) | 2023.10.17 |
---|---|
매일 열공하는 EBS radio shows(23. 10. 16. 월) 이지잉글리쉬, 입이 트이는 영어. (1) | 2023.10.16 |
매일 열공하는 EBS radio shows(23. 10. 12. 목) 이지잉글리쉬, 입이 트이는 영어. (1) | 2023.10.14 |
매일 열공하는 EBS radio shows(23. 10. 11. 수) 이지잉글리쉬, 입이 트이는 영어. (1) | 2023.10.11 |
매일 열공하는 EBS radio shows(23. 10. 10. 화) 이지잉글리쉬, 입이 트이는 영어. (1) | 202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