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y English.
What do you need me to do? 내가 뭘 해 주면 되는데?
<대화 연습>
A: Hey, Tom, can I ask you a huge favor?
B: Shoot.
A: I was wondering if you could house-sit for me during my vacation.
B: Sure thing, Ken. What do you need me to do?
A: Just feed my fish and water my plants. And also check the mail once a day.
B: No problem, I can handle that.
A: Wow, thank you! You're a life saver.
A: 톰, 어려운 부탁 하나 해도 될까?
B: 말해 봐.
A: 내가 휴가 간 동안에 우리 집 좀 봐 줄 수 있나 해서.
B: 그럼 되지, 켄. 내가 뭘 해 주면 되는데?
A: 내 물고기 밥 주고 화분에 물만 좀 주면 돼. 그리고 하루 한 번씩 우편물 온 거 확인해 주고.
B: 문제 없어. 그건 해 줄 수 있지.
A: 와, 정말 고마워. 너 사람 하나 살렸다.
<핵심 표현>
huge favor 큰 부탁, 어려운 부탁
shoot 거침없이 쏘다. 말하다.
wondering 궁금해하는
house-sit 집을 봐 주다.
handle 처리하다. 다루다.
life saver 생명을 구해 준 사람, 크게 도와준 사람
@입이 트이는 영어.
Using English Names. 영어 이름 사용하기.
<말하기 연습>
Talk about choosing and using English names.
영어 이름을 만들어서 쓰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 주세요.
To start off, I am not in favor of choosing and using English names. Just as we not force foreigners learning Korean to adopt Korean names, I don't think we should require people to have an English name for the sole reason that they are learning English.
먼저 저는 영어 이름을 만들어서 쓰는 것에 찬성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에게 한국 이름을 지으라고 강요하지 않듯이, 영어를 배운다는 이유만으로 영어 이름을 가져야 한다고 강요하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But many private English academies require children to create English names, and in some cases, we need to compromise with reality. I studies abroad in the United States for a brief period, and I did not use an English name. My American friends had no issues pronouncing my Korean name.
그런데 많은 사설 영어 학원에서 아이들에게 영어 이름을 만들라고 요구해서 현실에 타협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미국에서 잠깐 유학 생활을 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영어 이름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미국 친구들은 제 한국 이름을 발음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However, I had an unpleasnat experience when I returned to Korea and landed a job at an English academy. The director compelled me to use the English name "Jennifer." Since then, I have shortenend my name to "Jenny" and live as if "Jenny" is my seond identity.
그런데 한국에 돌아와서 어학우너에서 일하게 되었을 때 기분이 안 좋았던 경험이 있습니다. 원장님이 저한테 "제니퍼"라는 영어 이름을 쓰도록 강요했습니다. 그 이후 이름을 "제니"로 줄였고, 저의 제 2의 자아가 "제니"인 것처럼 살고 있습니다.
<핵심 표현>
be not in favor of ~에 찬성하지 않다.
adopt a Korean name 한국 이름을 사용하다.
for the sole reason that ~라는 이유만으로
private English academy 사설 영어 학원
compromise with reality 현실에 타협하다.
study abroad in ~에서 유학 생활을 하다.
have no issues 어려움이 없다.
have an unpleasant experience 불쾌한 경험을 하다.
land a job at ~에 취업하다.
compel someone to ~가 ~하도록 강요하다.
shorten one's name to 이름을 ~로 줄이다.
second identity 제 2의 자아
<대화 연습>
A: Did you give your kids English names?
B: Yes, we talked it over before they started attending their private English academy.
A: What names did you settle on?
B: My eldest son is into Harry Potter and wanted the name of a British prince, so we call him Harry.
A: And what about your second child?
B: My younger son is such a die-hard fan of Spider-Man that we decided to name him Peter.
A: 아이들한테 영어 이름을 지어 주셨어요?
B: 네, 영어 학원 가기 전에 같이 상의해 봤어요.
A: 어떤 이름으로 정하셨어요?
B: 큰 아들은 해리 포터를 좋아하고, 영국 왕자의 이름을 갖고 싶다고 해서 Harry로 지었어요.
A: 둘째 아이는 요?
B: 작은 아들은 스파이더맨을 너무나 좋아해서 Peter라고 부르기로 했어요.
<음성 파일>
<영작 연습>
1. 나는 새로운 정책에 찬성하지 않는다.
I am not in favor of the new policy.
2. 우리는 때로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실과 타협해야 한다.
Sometimes, we must compromise with reality to achieve our goals.
3. 나는 공항에서 불쾌한 경험을 했다.
I had an unpleasant experience at the airport.
4. 상사와 함께 상의해 보겠습니다.
I will talk it over with my boss.
5. 우리는 적절한 가격을 정할 수 있었다.
We were able to settle on an appropriate price.
@교재구매.
https://link.coupang.com/a/2QILk
https://link.coupang.com/a/2QIbH
https://link.coupang.com/a/WN2c3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생활 영어회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 열공하는 EBS radio shows(23. 7. 17. 월) 이지잉글리쉬, 입이 트이는 영어. (0) | 2023.07.18 |
---|---|
매일 열공하는 EBS radio shows(23. 7. 14. 금) 이지잉글리쉬, 입이 트이는 영어. (0) | 2023.07.14 |
매일 열공하는 EBS radio shows(23. 7. 12. 수) 이지잉글리쉬, 입이 트이는 영어. (0) | 2023.07.12 |
매일 열공하는 EBS radio shows(23. 7. 11.화) 이지잉글리쉬, 입이 트이는 영어. (0) | 2023.07.11 |
매일 열공하는 EBS radio shows(23. 7. 10. 월) 이지잉글리쉬, 입이 트이는 영어. (0)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