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vel 1. Start English.
A: Are you the president of the club?
B: Oh, yeah. I study math. I'm a junior.
A: Oh, you must be very busy then.
B: Kind of. I have to take many courses for my major this year.
A: 그쪽이 이 동아리의 회장이신가요?
B: 아, 네. 저는 수학 전공이에요. 3학년이죠.
A: 아, 그러면 무척 바쁘시겠어요.
B: 그런 셈이에요. 올해는 전공과목을 많이 들어야 하거든요.
<핵심 표현>
president 회장
math 수학
junior 3학년
major 전공
Level 2. Easy English.
A: What do you consider essential when packing for a trip?
B: A passport and a credit card.
A: Haha, that's the minimum, yes. What else?
B: Some people pack lots of clothes and shoes, but I don't. I prefer to buy those things while traveling.
A: Same here. I would rather fill my bags with presents.
B: What things from Korea do you like to share with people you meet?
A: 여행 갈 짐을 챙길 때 제일 중요한 게 뭔 거 같아?
B: 여권이랑 신용 카드지.
A: 하하, 그건 기본이고, 맞아. 또?
B: 어떤 사람들은 옷이랑 신발을 잔뜩 챙겨 가는데, 난 안 그래. 되려 여행하면서 사는 걸 더 좋아해.
A: 나도 그래. 가방에 선물을 잔뜩 채워 가는 편이지.
B: 한국에서 뭘 가지고 가서 만나는 사람들한테 나눠 주고 싶은데?
<핵심 표현>
consider 사려하다.
essential 필수적인, 극히 중요한
pack for a trip 여행을 앞두고 짐을 챙기다.
minimum 최저의, 최소한의
pack lots of clothes and shoes 옷과 신발을 잔뜩 챙겨 넣다.
I prefer to ~ 나는 ~하는 게 더 좋아.
while traveling 여행하면서
same here 나도 마찬가지야
ragher 꽤, 약간, 상당히
share with ~와 나누어 갖다.
<말하기 연습>
I prefer to ~. 나는 ~하는 게 더 좋아.
예.
I prefer to travel alone. 나는 혼자 여행하는 걸 더 좋아해.
I prefer to go to bed late. 나는 늦게 자는 게 더 좋아.
Level 3. 입트영.
Learning English vs. Learning Japanes.
영어와 일본어 학습의 차이점.
I am currently studying both English and Japanese. I can read and understand English to a certain extent, but I still have trouble forming sentences in conversations. With Japanese, I have a pretty good grasp of both reading and speaking.
나는 현재 영어와 일본어를 둘 다 공부하고 있다. 영어의 경우 독해는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회화에서는 아직 문장을 만드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비해 일본어의 경우 독해와 회화 모두 제법 자유롭게 할 줄 안다.
I think the reason lies in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compated to Korean. Japanese follows the same order for the subject, object, and verb. So, I can get my point across by simply replacing the Korean words in my head with Japanese ones.
한국어와 비교했을 때 두 언어 사이의 구조적인 차이에 그 이유가 있는 것 같다. 일본어는 주어, 목적어, 동사의 동일한 어순을 따른다. 따라서 한국어로 생각한 것을 일본어 단어로 바꾸기만 하면 말이 통한다.
But with English, the order is subject, verb, and object. If I simply replace the Korean words, it doesn't make any sense. That's why I need a lot of exposure to content in English, including "입트영."
그러나 영어는 주어, 동사, 목적어의 어순이다. 한국어 단어를 바꾸기만 해서는 말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입트영"을 비롯한 여러 영어로 된 콘텐츠를 다 많이 접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핵심 표현>
to a certain extent 어느 정도는
have trouble forming sentences 문장을 만드는 데 어려움을 겪다.
have a pretty good grasp of ~을 제법 잘 알다.
the reason lies in ~에 이유가 있다.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간의 구조적 차이
follow the same order 같은 순서를 따르다.
get one's point across 의사를 전달하다, 말이 통하다.
in one's head 머릿속에, 생각만으로
doesn't make nay sense 말이 되지 않는다. 이해하기 어렵다.
exposure to content 콘텐츠에 대한 노출
<대화 연습>
A: Forming sentences is English feels so difficult.
B: Me, too.
A: I think it's hard because the words are arranged differently in Korean and English.
B: That's right. Plus, I often don't know the proper usasge of English expressions.
A: I still try to write at least 5 sentences in English ever day.
B: I think the only solution is to keep at it.
A: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것이 참 어렵게 느껴져요.
B: 저도 그래요.
A: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이 달라서 어려운 것 같아요.
B: 맞아요. 그리고 영어 표현들의 정확한 쓰임을 모를 때도 많아요.
A: 그래도 저는 매일 적어도 다섯 문장은 영작을 해 보려고 해요.
B: 꾸준히 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인 것 같아요.
<음성 파일>
<작문 연습>
나는 클래식 음악을 꽤 잘 알고 있는 편이다.
I have a pretty good grasp of classical music.
나는 의사 전달을 하려고 노력했지만, 그들은 들으려 하지 않았다.
I tried to get my point across, but they won't listen.
액션 장면은 재밌었지만, 스토리가 전혀 말이 안된다.
I enjoyed the action scenes, but the story doesn't make any sense.
나도 마음에 들지 않지만, 이것이 유일한 방법이야.
I don't like it either, but it's the only solution.
꾸준히 하다 보면 더 쉬워진다.
It gets easier if you keep at it.
교재구매.
https://link.coupang.com/a/QwKSV
https://link.coupang.com/a/QwLbp
https://link.coupang.com/a/QwLg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