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구퍼 아빠에요. 간밤에 비가 와서 그런지 하늘이 제법 맑아졌네요. 오늘도 건너뛰기 패스! 시작해 봅니다.

오늘의 미션
고수의 생각을 읽고 나만의 생각을 더해 보는 연습을 합니다. ( 학습량에 따라 수시로 업데이트 합니다! )
시장
https://m.blog.naver.com/pokara61/222683270828
<뉴욕 증시> 미국채 10년물 장중 2.5% 돌파
전문가들은 10년 물 국채 수익률이 앞으로 금리 인상 계획을 반영할 경우 2.4% 정도가 정점이라고 추정해왔...
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jjangtg1/222683270786
미국증시 마감시황[3/25 미국시간기준] (feat. 환율, 금, 구리, 유가,채권)
안녕하세요 호빵먹는 부자입니다. 오늘 미국증시 마감시황 알려드리겠습니다. ★ 3대지수 Dow 0.44%, Nas...
blog.naver.com
- 3대 지수는 밤새 오르내리며 보합 수준으로 마감. 10년물은 장중 2.5% 터치. 금리 상승에 따른 모기지 금리 4.95%까지 상승. 달러/원 환율은 점진적 상승으로 1225원대.
- 미 증시는 이슈에 둔감해진 느낌이다.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더 하락하지 않고 잘 버텨준다. 상저하고의 예측이 맞을까? 지금이 최악? 서서히 해소? 그러자 꼬옥!
서적
https://m.blog.naver.com/yminsong/222683462858
투자의 본질 - 스타 펀드매니저에게 배우는 포트 구성 및 매매 노하우
항상 난세는 영웅을 만든다. 코로나 팬데믹 장세를 지나는 과정에서 주식 시장에서 뜬 스타들이 많다. 주식...
blog.naver.com
- 블러거의 내용에 일부는 공감하고 일부는 공감하지 못했다. 공감되지 못한 것은 아직 경험이 부족한 탓일 수도 있고 괜한 아집일 수도 있다.
- 투자를 병행하면서 교육비를 쎄게(?) 지불해가면서 지속적으로 관련 내용을 읽고 생각해 보는 연습을 한다. 운이 좋아서 격동기(코로나 팬더믹)도 겪었다.
- 나만의 투자 스타일을 정립하기 위해 이것도 해보고 저것도 해 보지만 늘 핑계는 시장이다. 아직도 턱없이 부족하다. 만신창이가 된 내 포트를 바라보면서 투자를 망치는 보편적인 잘못된 매매방법이 있으니. 우짤끼고~ 지속적으로 얻어서 다듬어 가야한다.
부동산
https://m.blog.naver.com/jjangtg1/222683454393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 동향 분석 [KB 리브부동산 동향자료-3/25 보도]
안녕하십니까 호빵먹는 부자입니다. 금주 금요일(3/25) 발표된 KB부동산 주간 주택시장동향 분석 및 자료...
blog.naver.com
- 국내 투자 시장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동산 시장. 흐름을 놓치진 말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 모든 대상은 다른 대상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 항상 발생한다. 간단한 예로, 부동산 시장의 상승과 하락 그리고 확장기와 축소기 등 시점에 따라 증시도 영향을 받고 섹터도 영향을 받는다.
- 정보가 많을 수록 양질의 정보도 많아지고 효용성이 높은 정보도 가능하지 않을까? 공부는 더 넓게 더 깊게 탐구해야 어디에서도 승률을 높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1년간 정말 뜨거웠구나! 새 정권으로 향후 어떤 흐름을 가질까?
기업
https://m.blog.naver.com/jpilot97/222683428714
케어젠(디글루스테롤), 당뇨병 완화의 게임체인저?
(이 글은 한 편의 '글'로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도 있기에, 단순 요약 내용만 제시할 수...
blog.naver.com
- "투자의 기본은 산업을 분석하고 기업을 분석한다."라고 한다. 기업 IR자료는 필독 자료이다. 자료를 탐독하면서 연관 산업 동향도 다양한 루트를 통해 확인해 가면서 의심을 확신으로 바꾼다.
- 사실을 바탕으로 성장 포인트를 점검해 보고 진행 과정을 관찰, 추척한다. 자의적으로 관련 시장에서 어떤 경쟁력으로 시장을 점유해 나갈지 구상해 보고 시나리오를 그려본다.
- 그려진 시나리오를 여러 관련 정보로 퍼즐을 맞추듯이 하나 씩 맞춰간다. 그리고 그 변화를 살펴본다. 변화에 따른 기업의 성장과 이익의 공유 그리고 참여자들의 심리들을 겪으며 시장의 생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해 본다. 한 사이클이면 감이 오지 않겠나? 3~5년이란 투자용어는 어디서 나온걸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