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영어회화

2020년 1월 29일 내가 좋아하는 EBS radio shows (이지잉글리쉬, 입트영)

Richard@ds2guf 2020. 1. 30. 06:11
반응형

[Easy English] 20200129 I felt the same thing. (저도 똑같이 느꼈어요. / 은퇴 후 삶)

이웃인 Miranda(A)와 Nick(B)의 대

A : 우리한테 뭐가 좋은지를 아는 게 중요한 거 같아요.
B : 맞아요. 우리에게 안좋은 걸 피할 가치가 있죠.
A : 우리가 어떻게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을 지 생각해 보는게 좋지 않을까요?
B : 제가 은퇴에 직면해야 했을 때는 심심하기도 하고 걱정도 되더라구요. 어떠셨어요?
A : 저도 똑같이 느꼈어요.
근데 곧 내가 다른 멋진 일들을 하고 있다는 걸 깨닫기 시작했어요.

A : I think it’s important to know what is good for us.
B : Right. It’s worth avoiding what’s bad for us.
A : Isn’t it good to think about how we can enrich our lives?
B : When I had to face my own retirement, I was bored and scared. How about you?
A : I felt the same thing(=way).
But soon, I started realizing that I was  on my way to doing other great things.


< Key Expressions >

- I have to avoid what’s bad for me.
- Face your fears.
- The movie is scary, so I am scared.
   This book is boring, so I am bored.


<Patterns and sentences>

* It’s worth ~ing.
: ~할 만한 가치가 있다.
- It’s worth giving it a second try.
    한 번 더 도전해 볼 가치가 있어.
- It’s worth learing for languages.

* Isn’t it good to think about how we can V?
: 우리가 어떻게 V할 수 있을 지 생각해보는 게 좋지 않을까요?
- Isn’t it good to think about how we can make this world better place?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을 어떻게 하면 더 좋은 곳으로 만들수 있을 지 생각해 보는 게 좋지 않을까요?
- Isn’t it good to think about how we can help others?
  다른 사람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 지 생각해 보는 게 좋지 않을까요?


<이런 말은 이렇게>

“It keeps getting better and better.”
(삶, 상황 등이) 점점 더 좋아지고 있어.



입트영(2020.01.29) - Trains / 기차

[Extra Topics for Study Groups]

1. Do you prefer trains or planes? Explain your preference.
2. Aside from speed, how are bullet trains different from ordinary trains?
3. List some other forms of transportation. Which do you use most often, and why?

STEP 1

Talk about trains in Korea.
한국의 기차들에 대해 이야기해 주세요.

[Response]

Several of the larger cities in Korea are interconnected by trains. There are different classes of trains, depending on their speed. The ticket prices are higher for faster trains. In 2004, the KTX bullet train began operation. The SRT bullet train followed suit in 2017. The speeds of these bullet trains are quicker than ordinary trains by a factor of two or more. They can reach speeds of 300km per hour, or even higher. The emergence of these trains has cut transit time by half.

[해석]

우리나라는 여러 대도시들이 기차로 연결되어 있다. 기차들은 속도에 따라서 몇 가지 등급이 있다. 빠른 기차일수록 기차표 가격이 비싸다. 2004 년에는 초고속 열차인 KTX 가 운행을 시작했다. 그리고 2017년에는 SRT 라는 초고속 열차가 개통되었다. 이 초고속 열차들의 속도는 기존 열차들에 비해 2배 이상 빠르다. 최고 시속이 300km/h 이상이다. 이러한 기차들의 등장으로 이동 시간이 절반으로 즐었다.

[Key Vocabulary & Expressions]

interconnected by ~로 연결된
different classes of 여러 등급의
bullet train 고속 열차
follow suit 이어서 똑같이 하다
by a factor of ~ 배로
reach speeds of ~의 속도까지 이르다
cut something by half ~을 반으로 줄이다
transit time 이동 시간

[Pattern Practice]

1. different classes of 여러 등급의
■ There are different classes of trains, depending on their speed.
■ There are different classes of rooms at the resort.
■ The different classes of seats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2. by a factor of ~ 배로
■ The speeds of bullet trains are quicker than ordinary trains by a factor of
■ The population has increased by a factor of three since then.
■ The processor speed increased by a factor of two.

3. cut something by half ~을 반으로 줄이다
■ The emergence of these trains has cut transit time by half.
■ We need to cut costs by half to earn a profit.
■ The store cut prices by half.

STEP 2

Talk about how you get train tickets.
기차표를 어떻게 구하는지 이야기해 주세요.

[Response]

In the past, you had to go to a ticket counter at the train station to get tickets. I remember having to stand in line for a long time. Later, you could book tickets for trains online, so I made reservations on computer screens. Smartphones have become the norm since then, and many users get their tickets through ticketing apps. If you type in the departure station and final destination, the app shows you the available times. You can pick out a seat and pay for the ticket right then and there. then you get a mobile boarding pass on your phone. Getting a train ticket these days is hassle-free.

[해석]

예전에는 기차표를 기차역의 매표소 창구에 가야만 살 수 있었다. 줄을 서서 오랫동안 기다려야 했뎐 기억이 난다. 그러다가 인터넷으로 기차표를 예매할 수 있게 되어서 컴퓨터 화면을 보며 예매를 했다. 그 이후 스마트폰이 보편화되고 나서는, 상당수의 이용객들이 기차표 예매 앱을 이용해서 표를 구매한다. 앱에 출발역과 도착역을 입력하면 선택 가능한 시간들이 표시된다. 좌석을 고를 수 있고, 표 결제도 바로 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폰에 모바일 기차표가 발권된다. 요즘에는 기차표를 사기가 정말 편리하다.

[Key Vocabulary & Expressions]

ticket counter 매표소 창구
stand in line 줄을 서서 기다리다
book a ticket online 인터넷으로 표를 예매하다
make a reservation 예약을 하다
become the norm 보편화되다
ticketing app 표 예매 앱
departure station 출발역
final destination 최종 목적지
available times 선택 가능한 시간
pick out a seat 좌석을 선택하다
right then and there 곧바로
mobile boarding pass 모바일 승차권
hassle-free 편리한

[Pattern Practice]

1. stand in line 줄을 서서 기다리다
■ I remember having to stand in line for a long time.
■ I played with my phone while i stood in line.
■ It's worth standing in little to eat here.

2. right then and there 곧바로
■ You can pay for the ticket right then and there.
■ I fell in love with her right then and there.
■ We signed the contract right then and there.

3. hassle-free 편리한
■ Getting a train ticket these days is hassle-free.
■ There is a hassle-free way to do the work.
■ Joining the club was hassle-free.

[Expression of the Day]

Good luck getting tickets.
표를 구하기 쉽지 않을 거야.

A: How do you plan to go home for the Lunar New Year?
B: I think I'll take a bullet train this year. It takes too long to drive.
A: Good luck getting tickets. They probably sold out weeks ago.
B: Oh really? I didn't know that. Darn it, I didn't want to drive this year.

A: 설날에 고향에는 어떻게 내려갈 예정이야?
B: 올해는 고속 열차를 타고 갈까 봐. 운전하고 가기에는 너무 오래 걸려.
A: 표를 구하기 쉽지 않을 거야. 아마 몇 주 전에 매진됐을걸?
B: 진짜? 그건 몰랐네. 젠장, 올해는 운전하기 싫었는데.

[Composition Practice]

1. 불과 1년만에 가격이 두 배로 올랐어. (by a factor by half)
2. 그 소프트웨어는 소요 시간을 반으로 줄여 준다. (cut something by half)
3. 표를 사려고 줄을 서서 기다리다가 그녀를 만났어. (stand in line)
4. 세금을 내는 과정은 더 편리해야 돼. (hassle-free)

반응형